세가 메가 드라이브 미니, 9월 19일 출시

게임 이야기|2019. 4. 11. 17:32

세가 메가 드라이브 미니, 9월 19일 출시

- 작성자 : 세비지 -

 

세가퍼블리싱코리아는 세가(SEGA)의 가정용 게임기 메가 드라이브(Mega Drive)의 게임 타이틀을 내장한 메가 드라이브 미니(Mega Drive Mini)를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1988년 일본에 출시된 메가 드라이브는 세가의 5번째 가정용 TV 게임기로 메가 드라이브의 등장과 함께 세가의 소닉과 샤이닝 시리즈를 비롯하여 판타지 스타와 뿌요뿌요 등 다양한 인기 게임이 등장했습니다.

 

메가 드라이브 미니는 메가 드라이브 출시로부터 약 30년이 지난 현재 당시의 추억을 떠오르게 만드는 손바닥 크기의 사이즈로 재현한 게임기입니다. 메가 드라이브 대비 55%가 작아진 사이즈로 넓이 154mm, 높이 39mm, 깊이는 116mm입니다.

 

게임기 해상도는 720p/480p를 지원하며 음성은 리니어 PCM, 볼륨 슬라이더, 카트리지 커버 등은 더미이지만 움직임을 재현했다. 컨트롤러 연결은 USB(타입 A), 디스플레이는 HDMI, 전원은 5V/1A 규격의 USB 어댑터를 USB(마이크로 B)를 이용합니다. 컨트롤러 크기는 가로 140mm와 세로 70mm, 높이 29mm이며 컨트롤러 케이블 길이는 2m입니다. 아시아판은 메가 드라이브 미니 본체와 컨트롤러 2개를 동봉하며 컨트롤러는 메가 드라이브의 다양한 컨트롤러 중 가장 인기 있는 파이팅 패드 6B를 제공합니다.

 

국내는 아시아판으로 출시되며 한국어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며 게임기에는 액션과 슈팅, 퍼즐, RPG, 시뮬레이션 게임 등 추억의 명작 40가지 게임을 탑재하고 있으며 아시아판은 다른 레트로 게임기와 같이 일본판과 북미판, 유럽판과 수록된 일부 게임 타이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시아판 메가 드라이브 미니에 탑재되는 게임 40개 중 10개가 우선 공개되었으며 그 게임 타이틀은 스페이스 헤리어 2(1998, SEGA), 버밀리언(1998, SEGA), 레슬볼(1991년, NAMCO), 샤이닝 포스(1992, SEGA), 소니 더 헤지혹 2(1992, SEGA), 아웃런 2019(1993, SIMS), 건스타 히어로즈(1993, SEGA), 뱀파이어 킬러(1994, KONAMI), 뿌요뿌요 2(1994, SEGA), 코믹스 존(1995, SEGA)다. 기타 수록 타이틀은 추후 순차적으로 공개 예정입니다.

 

게임기에 탑재된 모든 게임은 게임 중단과 저장 기능을 추가해 게임 도중 저장해서 다시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게임 당 4개까지 중단 세이브 기능을 지원합니다.

 

일본판은 메가 드라이브 미니, 미국판은 제네시스 미니(Genesis Mini)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지원이나 구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컨트롤러 버튼 구성은 일본판은 6버튼이며 미국판은 3버튼으로 차이가 있다. 2개의 컨트롤러가 기본 제공되는 미국판과 달리 일본판은 컨트롤러 수에 따라 메가 드라이브 미니(컨트롤러 1개)와 메가드라이브 미니 W(컨트롤러 2개)로 나뉩니다. 패키지 구성도 USB 케이블과 HDMI 케이블은 공통 제공이나 USB 어댑터는 미국판에서만 제공합니다.

 

게임 구성에도 출시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뱀파이어 킬러, 스페이스 해리어 2, 샤이닝 포스, 코믹스 존, 건스타 히어로즈의 5종은 공통으로 탑재됩니다. 일본판은 소닉 더 헤지혹 2, 뿌요뿌요 2, 샤이닝 포스 신들의 유산, 뱀파이어 킬러, 레슬볼, 건스타 히어로즈, 코믹스 존, 렌타 히어로(렌트 어 히어로), 스페이스 해리어 2, 마도 이야기 1 등 10개, 미국판은 에코 더 돌핀, 캐슬바니아 블러드라인(뱀파이어 킬러), 스페이스 해리어 2, 샤이닝 포스, 닥터 로보트닉의 민 빈 머신, 토 잼 & 얼, 코믹스 존, 소닉 더 헤지혹, 알터드 비스트(수왕기), 건스타 히어로즈의 10개를 탑재할 것으로 공개되었습니다.

 

한편 세가 메가 드라이브 미니는 전세계 공통으로 2019년 9월 19일 출시 예정이며 세가퍼블리싱 코리아도 메가 드라이브 미니 아시아판을 2019년 9월 19일 출시 예정입니다. 가격은 일본판 기준 컨트롤러 1개 제공 버전이 6,980엔(7만 1천원 선), 2개 제공 메가 드라이브 미니 W가 8,980엔(9만 1천원 선) 입니다.

 

 

내용 참고 : https://blueframe.co.kr/bbs/board.php?bo_table=news04&wr_id=970 

 

댓글()

엔비디아, 고품질 콘텐츠 제작에 최적화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 지포스 419.67 출시

소프트웨어 이야기|2019. 3. 22. 19:28

엔비디아, 고품질 콘텐츠 제작에 최적화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 지포스 419.67 출시

 

- 작성자 : 세비지 -

 

엔비디아가 GTC 2019(GPU Technology Conference 2019)서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터, 게임 개발자들에게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의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Creative Ready Driver)' 지포스 419.67을 출시했습니다.

 

엔비디아 RTX GPU는 전 세계 비디오 에디터와 3D 애니메이터, 방송 제작자, 그래픽 디자이너, 포토그래퍼들에게 하드웨어 가속 레이 트레이싱과 인공지능(AI)으로 향상된 크리에이티브 워크플로우, 고급 비디오 처리 기능을 제공해 생산성을 향상했습니다.

 

그러나 크리에이터들이 고품질 콘텐츠를 생산해야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이들이 사용하는 앱과 하드웨어의 원활한 작동이 중요해졌습니다. 이에 엔비디아는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최상의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를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버전 419.67)는 엔비디아 RTX GPU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모든 주요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최적화되었습니다.

 

엔비디아는 기존 게임 레디 드라이버와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 모두 게임과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엔비디아 기능 풀세트와 애플리케이션 지원을 통해 유저들은 원하는 드라이버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크리에이터들은 엄격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보다 심층적인 테스트를 거친 지정 드라이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는 엔비디아 홈페이지 또는 지포스 익스피리언스(GeForce Experience)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저들은 지포스 익스피리언스의 메뉴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를 클릭해, 언제든지 게임 레디 드라이버와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는 튜링 기반 지포스 RTX, GTX, 타이탄(TITAN) GPU, 볼타(Volta) 기반 타이탄 V, 파스칼(Pascal) 기반 지포스 GTX, 타이탄 GPU, 모든 최신 쿼드로(Quadro) GPU에서 지원합니다.

 

엔비디아는 오토데스크와 함께 마야(Maya)와 3DS 맥스(3DS Max)를 위한 아놀드 렌더러(renderer) RTX 가속화 퍼블릭 베타도 발표했습니다.

 

RTX 가속화 앱 지원과 함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레디 드라이버 역시 주요 크리에이티브 애플리케이션를 위한 415 드라이버에서 성능 향상을 제공합니다. 윈도우 10(RS4), 인텔 제온 골드 6154 CPU(3GHz), 64GB DDR4 메모리, R415, R41 하위 드라이버를 장착한 지포스 RTX 2080을 사용하는 테스트 시스템에서 성능 향상이 확인되었습니다.

 

 

내용 참고 : https://blueframe.co.kr/bbs/board.php?bo_table=news05&wr_id=1540

 

댓글()